www.xuanflute.com
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수정  로그아웃  관리자 
[공지] 인문정보학 전공 교과 내용
죽관악기장  (2011-06-08 17:17:10, Hit : 4069, Vote : 127)
hyeon@aks.ac.kr
인문정보학 전공 교과 내용

인문정보학 전공 교과 내용


1. 일반전공 과목


<전공이론 심화와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 인문정보학 개론 (Introduction to Cultural Informatics)

    인문지식의 학제적 소통과 사회적 보급을 위한 도구로서 정보 기술을 이해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강좌이다. 미래의 정보 통신 기술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회적 비전을 파악하고, 그 가운데 인문과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지, 그 임무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문지식의 연구가 어떻게 변화해야 되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그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문학 연구자들이 도입·활용해야 할 정보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 (Electronic Document and Hypertext)

    한국학 분야의 고전 자료 및 연구․편찬물을 인터넷 등의 전자적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화 하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복합적인 한국학 지식 정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기초 기술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이 수업 과정을 통해 전자문서의 편집을 위해 개발된 XML 언어의 규약을 이해하게 되며, 한국학 자료의 특성에 부합하는 전자 문서의 구조를 설계하고, 마크업 기호를 이용하여 텍스트의 구성 요소들을 정밀하게 정보화 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 (Cultural Database Development)

    인문학 분야의 지식 자원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기술을 습득한다.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데이터베이스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방법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고, 실습 과정에서는 한국 문화 관련 자료의 메타 데이터와 전문(Full Text) 정보를 XML 전자문서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지역문화 콘텐츠 연구 (Local Culture Content)

    국내외의 향토문화 콘텐츠의 개발에 관한 연구성과를 검토한다. 향토문화 콘텐츠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전통시대 지리지, 근현대 시․군지 등의 편찬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디지털 지지’ 등 새로운 지역지리 편찬모델에 대해 논의한다. 실제 지역을 선정하여 공동 작업으로 향토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시도한다.


◦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전통시대에 생산된 각종 고문서 자료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적합한 정보 시스템을 설계․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족보, 의궤, 방목, 교지, 호적, 양안, 분재기, 토지매매문서, 치부책 등 다양한 고문서 원자료 및 탈초, 해제, 번역 등의 연구성과를 표준적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학제적 활용의 길을 넓힐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 고지도 자료 정보화 연구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Maps)

    전통시대의 기록 유산 중 지리지, 지도류 등 역사 지리 관련 자료를 정보화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탐구한다. 전근대 지리 자료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아울러 이를 전자적으로 재현하는 데 필요한 지리 정보 시스템의 활용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전자지도 기반 지식 정보 시스템의 개발 능력을 배양한다.


◦ 학술 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omputerization of Academic Documents and Information)

    학회지 논문, 학위논문, 학술대회 발표문, 연구보고서, 단행본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는 최신 학술 자료를 유관 분야의 연구자들이 신속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방법을 연구한다.


◦ 전자문화지도 (Electronic Cultural Atlas)

    전자지도를 매개로 하여 인류 문화의 자취에 대한 지식을 범세계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노력의 국제적인 동향과 기술 수준에 대해 공부하고,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개발 연구가 그러한 노력에 효과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 외국에서 이루어진 전자문화지도 구축의 모범적인 사례 및 표준화 규약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전자문화지도 콘텐츠가 국제적으로 소통․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사전 편찬 연구 (Compilation of Encyclopedia)

    정보화사회에서 디지털화된 각종 사전류는 그 분야 전문지식의 학제적 소통 및 교육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 지식 콘텐츠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 강좌는 정보 기술의 기반 위에서 특정 분야 전문 사전을  체계적으로 편찬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 항목의 선정과 관리, 온라인 상에서의 집필 의뢰와 원고 수합, 교열․교정 프로세스의 관리, 각종 색인의 자동 생성과 검증, 디지털 이미지와 전자지도의 제작 등 전자적인 사전 편찬 기술의 교육을 통해 전문 지식 콘텐츠의 생산 능력을 배양한다.


한문 정보 처리 (Classical Chinese Processing)

    우리나라의 기록 문화 전승 매체이자 한문 문화권의 공용 문자 언어인 한문을 정보화 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다룬다.  한자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입력법, 한문 자료를 대상으로 한 정보 검색 시스템 구현 방법, 정보 검색 시에 한자 이체자에 의해 발생하는 모호성의 해소 방법 등을 공부함으로써 한문을 사용하는 한국, 중국, 일본의 고전 문헌 및 현대 문헌에 수록된 지식 정보를 전자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지역 문화 조사 방법론 (Methodology for Local Culture Studies)

    야외조사를 중심으로 지역문화 조사와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론을 습득한다. 현장 문헌조사를 비롯해 경관 관찰 및 조사, 지명조사, 면담 및 설문조사 등이 주요내용이다. 실제 연구지역을 실정하여 그 지역의 자연적 인문적 배경과 지역문화의 형성과정과 그 특성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직접 조사해 본다.


◦ 지역 지리학 응용 연구 (Applied Studies in Regional Geography)

    지역의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공부하고, 국내외의 농촌, 어촌, 산촌 또는 특수한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그 지역의 발달과정과 기능 체계 및 지역 정책 등이  산업화 및 정보화 시대에 변화하고 발전하는 방향을 탐색한다. 우리나라 농촌을 예로 들면 도시화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도시주변부 농촌, 전형적인 농촌지역, 과소지역 등으로 유형화하여 입지, 형태, 기능의 분석을 통해 농촌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 지리 연구와 콘텐츠 Ⅰ: 자연지리 (Geography and Content Ⅰ: Physical Geography)

    한국의 국토공간을 자연지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콘텐츠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자연지리학은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을 다루는 학문으로, 지역을 이해하는 데 가장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국학 연구를 위해서도 한국의 자연지리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리 연구와 콘텐츠 II: 도시지리 (Geography and Content II: Urban Geography)

    우리나라 향토사회는 유례없는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고 있다. 자연마을이 도시화되어 가는 모습과 함께, 도시의 개념, 기원과 발달, 형태, 내부 구조, 기능, 도시 세력권 등을 학습한다. 나아가 도시경제 기초이론과 도시의 토지이용 원리를 중심으로 도시지리학의 응용적 측면을 강조하여 연구한다.


◦ 지리 연구와 콘텐츠 Ⅲ: 촌락 (Geography and Content Ⅲ: Rural Geography)

    촌락은 지역사회의 기본단위이자 전통문화의 유람이며, 주민들이 거주하며 사회적 ․경제적 활동을 영위하는 현실적인 생활의 장이다. 한국 촌락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촌락에 대한 실제 연구를 수행하여 그 내용을 콘텐츠로 개발한다.


◦ 계량지리학 (Quantitative Geography)

    도시화, 산업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싹튼 것이 50년대의 계량지리 연구이다. 이후의 계량지리 연구 동향과 그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기법을 도입한 지리 정보 콘텐츠 개발 방법을 연구한다.


경제지리 자료 특강 (Topics in Economic Geography)

    경제활동의 공간적 전개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활동의 공간분포 특성을 체계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세계 경제의 차원에서는 경제활동의 공간조직과 그 변화를 지리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경제의 차원에서는 경제활동의 지역적 특성과 그 변화를 지리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이해한다. 최근의 정보화, 세계화에 따른 지역경제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 개별학습 (Independent Studies)

    학생이 개인적으로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 작성과 관련된 분야의 심층적 연구를 위해 지도교수를 선정하여 개별학습을 수행하는 교육과정이다.


<원전자료 해독 능력 배양 교과목>


◦ 역사지리 자료 특강 (Topics in Historical Geography Materials)

    지리지, 고지도 등 전근대 및 근대에 만들어진 지리자료를 강독하여 자료 해독력을 높이는 동시에 당시 우리나라의 지리적 상황을 파악한다. 지리 관련 저술, 인구 및 토지관련 자료 등이 주요한 대상이다. 이러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과 이를 독해하여 인문지리학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특정한 연구지역과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그에 따른 자료의 수집과 해석, 활용을 실습한다.



<전통의 현대화와 미래지향을 위한 교과목>


◦ 멀티미디어 콘텐츠 (Multimedia Content Development)

    문화 콘텐츠 제작 기술 배양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기록 문화 유산 자료와 그에 관한 지식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는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수강자들은 본 강의를 통해, 원문 자료의 특성과 활용 목적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설계, 사진․도면․동영상․3차원 가상현실 영상 데이터의 제작, 텍스트와 시청각 자료를 적정하게 연계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구현 및 월드와이드웹 상에서의 서비스 시스템 구현 기술을 습득한다.


◦ 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오늘날 다매체 지식 정보 콘텐츠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전자지도의 제작과 응용 기술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벡터 지도, 위성영상지도, 하이브리드 지도 등 다양한 전자지도를 정보 서비스 시스템 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인문 지식 콘텐츠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데 필요한 제반 기술 - 지리 정보 조작 언어, 공간 정보 레지스트리 구축 방법,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등을 다룬다.


◦ 시맨틱 웹과 한국학 자료 (Semantic Web and Korean Studies Materials)

    시맨틱 웹은 정보 통신 공간에 산재하는 다양한 자원을 의미적 연관 관계에 따라 연계, 종합, 분석하고, 그 기반 위에서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학 지식 자료를 시맨틱 웹 기반의 정보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기술과 방법을 연구한다.


유비쿼터스와 증강현실 (Ubiquitous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휴대용 정보화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과 응용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문 지식을 일상 생활 속에서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크게 열리고 있다. 스마트 폰, 타블렛 컴퓨터와 같은 정보화 기기의 활용을 통해  한국학 지식을 대중에게 확산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외국어 디지털 콘텐츠 편찬 방법론 (Translation of Cultural Contents)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외국어 디지털 콘텐츠 편찬 방법을 연구한다. 번역 업무의 도구로 활용되는 전문분야별 용어·용례사전의 구축과 활용, 콘텐츠 전문가와 언어 전문가가 참여하는 번역 팀의 조직과 운영 방법에 대해 연구하며, 기존의 외국어 번역 콘텐츠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문화에 대한 외국어 콘텐츠 편찬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방법론 (R&D Project Management)

    인문정보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학제적 개발 팀의 조직과 팀 운영 방법, 개발 일정의 수립과 진도 관리, 개발 산출물의 테스팅, 이용자의 반응 조사와 피드백 방법 등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운영에 관련된 이론과 실무를 다룬다. 또한 이 수업 과정에서는 모범적인 인문정보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의  제안서와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수적인 문서화(Documentation) 능력을 배양한다.


2. 학제간 과목


◦정보화를 위한 한국학 자료 특강 I: 역사 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고려사, 삼국사기 등의 역사 사료의 체제와 내용을 이해하고, 유사한 성격의 자료를 전자 문서로 편찬하여 학술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다양한 형태의 역사 사료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구조적인 전자 문서로 구현하는 방법과 인물, 지리 등의 유관 정보와 현대사학의 연구 성과를 사료 텍스트에 연계하여 종합적인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방법 등을 다루게 된다.


정보화를 위한 한국학 자료 특강 II: 어문 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Materials)

    고전문집에 수록된 문장, 시가 및 한국 근현대 시, 소설, 평론 등 다양한 문예 자료 또는 옛 말, 방언 등 한국어 언어 자원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러한 자료를 정보화 하여 교육 및 학술 연구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한다. 텍스트로부터 어휘 용례와 사용 빈도, 문장과 어구의 인용, 표현 양식의 유사성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작품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는 방법 등을 다룬다.


정보화를 위한 한국학 자료 특강 III: 예술 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Art Materials)

    전통시대의 음악, 미술, 무용 및 예능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의례 관련 자료들을 조사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자료를 선정하여 분석·이해함으로써, 예술 자료를 소재로 한 한국학 지식 정보 콘텐츠 개발 방법을 모색한다.


3. 연구참여 과목


◦ 인문정보 편찬 연구Ⅰ(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 Ⅰ)

    인문정보학 전공 학생들에게 인문지식 콘텐츠 편찬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학 지식 콘텐츠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연구진의 일원으로 참여함으로써, 기초 자료의 조사 분석, 콘텐츠 개발 기획, 데이터 편찬 가공, 정보 시스템의 구현 등 인문정보 콘텐츠 편찬의 제 단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각각의 단계별 업무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연마한다.


◦ 인문정보 편찬 연구 Ⅱ (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 Ⅱ)

    인문정보학 전공 학생들에게 인문지식 콘텐츠 편찬 실무 경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학 지식 콘텐츠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연구진의 일원으로 참여함으로써, 기초 자료의 조사 분석, 콘텐츠 개발 기획, 데이터 편찬 가공, 정보 시스템의 구현 등 인문정보 콘텐츠 편찬의 제 단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각각의 단계별 업무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연마한다.


◦ 문화역사지리 현장 조사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Fieldwork)

    문화역사지리 연구에는 문헌조사와 함께 현장조사가 필수적이다. 문화역사지리의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우리나라의 여러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문화역사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현장조사 방법을 습득한다.


4. 외국인을 위한 전공과목


한국 지리 입문 (Introduction to Korean Geography)

    한국의 국토공간을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지리에 대한 개설로서,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취락․도시․인구․산업 등의 인문지리에 관하여 계통적으로 강의한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지역적 삶의 실체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지역구조 및 지역성의 형성과정과 그 요인을 파악한다.


◦ 한국 문화와 문화콘텐츠 (Korean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한국의 고유한 역사적․문화적 지식 소재가 정보기술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각종 문화 콘텐츠는 해외에도 보급되어 한국 문화에 대한 국제적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이 강좌는 한국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문화와 기술의 융합을 지향하는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산업 동향과 그 결과로 나타난 ‘한류’(韓流, Korean Wave)라는 문화 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www.xuanflute.com
 인문정보학 석·박사 학생 모집 죽관악기장 2011-06-08 126 5708
 인문정보학 전공 교과 내용 죽관악기장 2011-06-08 127 4070
8 [교재]  2014-2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수업 후기 죽관악기장 2015-01-08 84 3084
7 [교재]  2011-1 한국학대학원 기말 과제 죽관악기장 2011-06-20 127 24249
6 [교재]  2011-1 중앙대학교 기말 과제 죽관악기장 2011-06-07 108 2508
5 [교재]  2011-1 중앙대학교 강의 / 실습 조 편성 죽관악기장 2011-04-05 107 3424
4 [교재]  2011-1 중앙대학교 강의 교재 김현 2011-03-07 110 2857
3 [교재]  2011-1 중앙대학교 강의 계획 김현 2011-03-07 105 14604
2 [교재]  2011-1 한국학대학원 강의 교재: 전자문서와 하이퍼.. 김현 2011-03-03 107 21794
1 [교재]  2011-1 한국학대학원 강의 계획: 전자문서와 하이퍼.. 김현 2011-03-03 103 3412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