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2021. 11.
2021. 11.
2021. 8.
2021. 1.
2020. 12.
2020. 10.
2020. 9.
2020. 3.
2019. 12.
2019. 10.
2019. 9.
2018. 12.
2018. 11.
2018. 2.
2018. 2.
2017. 12.
2017. 8.
2017. 3.
2012. 12
2012. 07
Dramaband: Close Bonds between TV Drama & Broadband
HyperConnected 2012, University of Wollongong, Australia
2009. 12
2009. 11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 『인문콘텐츠』16
2007. 12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 and Cultural Informatics,
『인문콘텐츠』10
(SOAS-AKS Korean Studies Workshop: Korea, East Asia and Beyond:
Culture and Society in Modern Korea, 2007. 6. 26. SOAS, London, U.K.)
2007. 06
「향토문화 하이퍼텍스트 구현을 위한 XML 요소 처리 방안」,『인문콘텐츠』9
2007. 04
Promotion of Local Culture Studies Through On-line Database Compilation,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in Europe (AKSE 2007),
The 30th Anniversary Conference, Paris, France
2006. 10
『인문학과 문화콘텐츠』(공저), 다할미디어
2006. 03
『문화콘텐츠 입문』(공저), 북코리아
2006. 08
「고문헌 자료 XML 전자문서 편찬 기술에 관한 연구」, 『고문서연구』 29
2005. 12
「한국학과 정보기술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民族文化硏究』43
2005. 12
「한국 고전적 전산화의 발전 방향 -고전 문집 지식 정보 시스템 개발 전략-」, 『민족문화』28
2005. 12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s Administered by Korean Public Sector,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8. No. 4
2005. 06
「아시아 문화유산의 디지털화 프로그램 및 협력 방안」, 『인문콘텐츠』5
2004. 12
「전자문화지도 개발을 위한 정보 편찬 기술」, 『인문콘텐츠』 4」
(「電子文化地圖開發のたぬの情報編纂技術」, 2004. 12.
第2回東亞細亞史料硏究編纂機關國際學術會議, 東京大學史料編纂所, 東京, 日本)
2004. 12
「성리학적 가치관의 확산과 여성」, 『民族文化硏究』41
2004. 11
『하바드 옌칭 한국관 자료 연구』(공저), 경인문화사
2003. 10
Digital Library Networks and e-Book Publishing in Korea,
Books in Numbers Conference
in celebration of the 75th Anniversary of the Harvard-Yenching Library,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U.S.A.
2003. 06
「인문 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인문콘텐츠』 1
2002. 12
「조선후기 미발심론(未發心論)의 심학적(心學的) 전개」, 『民族文化硏究』 37
2002. 10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est Collection for CLIR in NTCIR-3
NTCIR Workshop,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Tokyo, Japan
2002. 09
「디지털 정보 시대의 인문학」, 『오늘의 동양사상』7
(인문정책 심포지움「한국인문정책의 방향과 과제」2002. 6. 14. 인문사회연구회)
2002. 02
『조선 유학의 개념들』(공저), 예문서원
2001. 12
「인문정보학에 관한 구상」, 『民族文化硏究』35
2001. 12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공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09
『하바드 한국학의 요람』(공저), 을유문화사
2001. 03
XML Application to the National R&D Information System in Korea
Committee on XML for J-STAGE,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oration, Tokyo, Japan
2000. 12
「조선시대 韓·中·日 陰陽 年曆 비교 조사 연구」, 『民族文化硏究』33
2000. 07
Electronic Journal Publ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Scientific Societies in Korea
Committee on XML for J-STAGE,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oration, Tokyo, Japan
2000. 05
『조선시대의 삶과 생각』(공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9. 11
Implement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 Databases using Uni-Code CJK Ideographs
International Symposium for the Computeriz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Text,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Seoul, Korea
1999. 01
『2000년, 이 땅에 사는 나는 누구인가』(공저) , 푸른숲
1998. 08
『조선유학의 자연철학』(공저), 예문서원
1996. 12
『조선유학의 학파들』(공저), 한길사
1995. 07
『임성주의 生意哲學』, 한길사
1996. 08
「조선왕조실록 전산화를 위한 마크업(Markup) 규칙, 『고문연구』9
1995. 12
「韓國古典籍 전산화의 성과와 과제」, 『民族文化』18
1994. 12
「雲湖 任靖周의 理氣心性論」, 『東洋哲學硏究』14
1994. 10
『한국사상의 탐구: 人性物性論』(공저) 1994. 10., 한길사
1992. 07
『민족과 사상: 四端七情論』(공저), 서광사
1988. 02
「東洋學資料 電算化의 構想과 課題」, 『民族文化硏究』21
1985. 12
「茶山의 中和 槪念」, 『茶山學報』7